XFree86 4.0 (6.4)을 설치하고 사용할려면

고객지원 지식기반 (cg_xfree4_0-6_4)
적용 범위

SuSE Linux: 버전 6.4


XFree86: 버전 4.0

Request:

멀티헤드 지원과 같은 새로운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서 XFree86 버전 4.0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기 위해서 어떻게 X 서버를 인스톨하고 환경설정시켜 주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Procedure:

Installation of packages

XFree86 4.0을 X 서버에 인스톨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패키지들을 수세 리눅스 6.4의 두 번째 시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두 번째 시디롬을 시디 드라이브에 넣고 마운트를 시키십시오, 그런 다음, 다음과 같이 진행합니다.

mount /cdrom
cd /cdrom/unsorted/XFree86-4.0
rpm -Uvh xf86_40-4.0-5.i386.rpm
rpm -Uvh sax2-4.0-0.i386.rpm
cd /
umount /cdrom

여기서 xf86 패키지들을 인스톨할 때 peri_tk 와 같이 인스톨되지 않은 패키지들에 대해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을 주목하십시오. 이렇게 빠진 패키지들은 야스트에서 인스톨할 수 있습니다.

Configuration using Sax2

이들 두 패키지들을 인스톨하고 난 다음에는 SaX2에서 환경 설정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해서 SaX를 시작하십시오.
sax2

그러면 선택된 비디오 모드와 해상도의 확인을 위한 다이알로그 박스가 나타납니다. 이때 오케이 버튼을 클릭하면 XFree86 환경설정이 끝난 것입니다. 이때 이 첫 번째 다이알로그 스크린을 볼 수 없을 때 어떻게 해야 되는지에 대해서는 여기 트러블슈팅을 참조하십시오.

finetuning

만약 자동적으로 선택된 해상도에 만족하지 못하면 직접 환경 설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 Enter SaX를 클릭하면 SaX가 시작됩니다. 이때 커스텀 스타일을 할 것인지 쉬운 환경설정을 할 것인지 물어 오게 됩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쉬운 환경설정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립니다.

Graphics device setup

이 다이알로그에서는 비디오 카드를 환경설정해 줄 수 있습니다. 이때 비디오 카드를 지원 해 주고 있는 드라이버 모듈을 자동적으로 검색해 줍니다. 또한 "드라이버" 선택 박스에서 직접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비디오 카드를 위해 잘못된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있다면 이렇게 환경 설정된 드라이버는 시작되지 않게 됩니다. 이것은 버스 ID에도 적용됩니다. 버 스 ID는 카드가 어디에 플러그되어 있는지에 대한 PCI/AGP 스롯을 나타내 줍니다. 이때 비 디오 카드가 플러그된 슬롯을 자동으로 검색해 줍니다. 또한 시스템에 비디오 카드가 하나 뿐이라면 single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Expert 다이알로그에서는 비디오 카드에 있는 RAMDAC, 비디오 칩셋, 클록칩을 직접 선 택해서 환경설정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이렇게 수동으로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작업은 필요하 지 않습니다. 여기 다이알로그에서는 예를 들어 esw_cursor와 같은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 니다. 여기에 나와 있는 옵션들은 로우 레벨 비디오 카드 드라이버의 동작으로 변화시켜 줍 니다.

Desktop setup

이 다이알로그에서는 모니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색상, 해상도, 수평 및 수직 리 프레쉬 레이트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또 모니터를 XFree86-3.3 을 위한 SaX 에서처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작업을 하기 위해서 해당 버튼을 클릭합니다. 만약 모니터를 수동으로 설정하고 있다면 수평 및 수직 리프레쉬 레이트에 대해서 너무 높은 값을 주지 않도록 조십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잘못된 값들을 사용하면 모니터에 손상을 입힐 수 도 있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X 서버가 시작되지 않고 SaX에서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 이 에러의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 볼 수 있습니다. SaX는 에러 로그를 /var/log/SaX에 생성해 주고 X 서버도 자체 에러 로그 를 /var/log/XFree86.0.log에 생성해 줍니다. X 서버의 로그 파일 포맷은 이전 버전들에서 비해 많이 다르고 또한 내용도 풍부합니다.

Troubleshooting

I need an optionm for the X 서버

마우스 커서를 가속화된 X 서버 드라이버 모듈로 해서 볼 수 없기 때문에 sw_cursor옵션을 선택해야 하는 등 X 서버를 가동시키기 위해 옵션을 사용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환 경 설정을 제네릭 vga 드라이버 모듈로 할 수도 있습니다. 이 모듈은 구 VGA16 서버와 아 주 유사합니다. SaX2를 다음과 같이 시작하십시오.

sax2 -m 0=vga

SaX2는 제네릭 VGA 드라이버를 강제적으로 사용하도록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환경 설정 다이알로그가 640x480 해상도의 16 색상 표준 VGA 모드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 그래 픽 디바이스 셋업 다이알로그에서 정확한 드라이버 모듈을 선택해 주면 됩니다. 또한 Expert 다이알로그에서 필요한 옵션을 설정시켜 주어야 합니다.

The mouse pointer does not move

마우스 설정 사항은 /etc/rc.config 파일의 GPM_PARAM 변수값으로부터 읽어집니다. 먼저 야스트(시스템 어드미니스트레이션 --> gpm 콘피규레이션)에서 마우스를 설정해 보도록 합니다. 만약 인텔리마우스라고 불리는 마우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이 마우스가 표준 PS/2 드라이버와 같이 제대로 동작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 단계가 아주 중요합니다.

SaX2는 배치 모드로 해서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비디오 카드 지원과 관련해서 문제가 생 기면 다음 명령 라인을 I need an opton for the X 서버 섹션에 나와 있는 명령 라인과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컴퓨터의 PS/2 포트에 Genius Netscroll 마우스가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을 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이 인텔리마우스는 X 서버의 IMPS/2 드라 이버와 제대로 동작을 하는 마우스입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SaX2를 배치 모드로 해서 시 작을 시킵니다.

sax2 -b

그러면 다음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SaX: .
SaX: enter batch mode please wait
Linux SaX Version 4.0 startup level (init) (23/09/1999)
(C) Copyright 1999 - SuSE GmbH

SaX>

이때 마우스 타입을 다음과 같이 IMPS/2로 할 수 있습니다. 이때 다음 명령을 SaX 코맨드 프롬프트에서 정확히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InputDevice->1->Option->Protocol=IMPS/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파일 이름도 변경시켜 줄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을 위해 다음 명령을 입력하십시오.

InputDevice->1->Option->Device=/dev/psaux
/dev/pasux 대신에 마우스의 해당 디바이스를 입력하십시오. XFree86에서 사용 가능한 디 바이스와 프로토콜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다음 Mouse: Overview about mouse types 페이 지와 XF86Config 맨 페이지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SaX2 명령어인 see를 가지고 위에서 입력된 옵션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모든 옵션 들이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를 볼 수 있습니다.

see InputDevice->1->Option명령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을 보여 줍니다.

Device           =  /dev/psaux
Protocol         =  IMPS/2
다음 exit를 입력시키면 배치 모드에서 빠져 나올 수 있습니다. 즉, 그래픽 모드에서 환경설 정을 완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키워드: XFREE86, 4.0, XFREE

SDB-cg_xfree4_0-6_4, Copyright SuSE Linux AG, Nrnberg, Germany - 버전: 19. Feb 2001
SuSE Linux AG - 최근에 만들어진 : 19. Feb 2001 에 의해 kmyoo (sdb_gen 1.40.0)